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천문학 우주항공105

밤하늘로 길게 뻗는 수성의 ‘나트륨 꼬리’: 왜, 언제, 얼마나 밝게 보일까? 수성 나트륨 꼬리의 생성 원리, 계절 변화, 관측 팁과 실생활 응용(필터·장비·촬영법)을 알기 쉽게 소개합니다.목차서론: “행성이 혜성처럼 보이는” 밤, 무엇이 일어나는가초저녁 서쪽 하늘을 길게 노출해 촬영하면, 작은 점 같은 수성 뒤로 주황빛 가느다란 꼬리가 뻗어 나오는 사진을 볼 때가 있습니다. 혜성이 아니라 수성의 나트륨(Na) 꼬리죠. 수성은 두꺼운 대기가 없지만, 표면이 햇빛과 미세운석에 얻어맞으며 생기는 초미약 외기권(exosphere) 덕분에 나트륨 원자가 풀려납니다. 이어 태양빛(특히 589.0/589.6nm, D-선)이 이 원자를 산란시키고 동시에 복사압으로 밀어내며, 밤하늘에 “혜성 같은” 꼬리를 그립니다. 2001년 지상에서 꼬리가 처음 직접 검출된 뒤, 탐사선 MESSENGER와 지.. 2025. 10. 2.
하늘을 재는 눈금의 탄생사: 파섹·광년·AU가 어떻게 만들어져 오늘의 ‘우주 거리 언어’가 되었나 **파섹·광년·AU(천문단위)**가 어떻게 탄생·정의되었는지, 역사와 과학적 배경, 최신 표준과 실제 응용까지 알기 쉽게 소개합니다.목차 서론: “얼마나 먼가?”를 물을 때 생겨난 세 개의 자밤하늘의 거리를 묻는 일은 고대부터 인류의 집요한 질문이었습니다. 달까지는 손에 잡힐 듯하지만, 금성·태양·별·은하로 갈수록 스케일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며 단일 단위로는 감각이 무뎌집니다. 그래서 천문학은 서로 보완적인 세 개의 단위—태양계 스케일의 AU(astronomical unit, 천문단위), 항성까지의 삼각측량을 바탕으로 한 파섹(parsec), 그리고 물리적 보편성을 지닌 광년(light-year)—를 나란히 쓰며, **거리사다리(distance ladder)**의 각 단에 걸맞은 눈금을 제공해 왔습니다.. 2025. 10. 2.
‘럭키 이미징’과 스펙클 보정으로 아마추어도 초고해상도 별 사진에 다가가는 실전 가이드 ‘럭키 이미징’과 ‘스펙클 보정’ 원리부터 장비·소프트웨어·세팅·실전 팁까지, 아마추어가 초고해상도 별 사진에 도전하는 방법을 알기 쉽게 소개합니다. 목차 서론: 대기 난류를 “순간 동결”하면 열리는 해상도의 문밤하늘을 보면 별이 반짝이죠. 낭만적이지만, 사진가에겐 **대기 난류(seeing)**가 만드는 흐림의 다른 이름입니다. 오랜 노출을 주면 난류가 평균화되어 별상이 퍼지고, 망원경 이론 해상도는 빛을 보지 못합니다.바로 여기서 스펙클(speckle) 보정과 **럭키 이미징(lucky imaging)**이 빛을 발합니다. 초고속으로 **매우 짧은 노출(수~수십 ms)**을 수천·수만 장 촬영해, **가장 선명한 프레임(‘럭키’ 프레임)**만 골라 정렬·합성하면, 지상에서도 회절 한계에 근접한 세부.. 2025. 10. 1.
해왕성·천왕성 깊은 곳에서 진짜로 ‘다이아몬드 비’가 내릴까? 최신 고압 실험이 보여준 결정적 단서 다이아몬드 비 가설과 관련된 최신 고압 실험과 이론, 해왕성·천왕성 내부 조건, 초이온성 얼음·층상 구조 모델 등 흥미로운 사실과 응용사례를 알기 쉽게 소개합니다. 목차서론|‘보석 폭우’의 과학: 상상인가, 물리 법칙의 귀결인가해왕성과 천왕성, 이른바 ‘얼음 거대행성(ice giants)’의 내부에서 다이아몬드 비가 내린다는 이야기는 한때 과학 대중서의 상징 같은 설정이었죠. 하지만 지난 10여 년 사이, 초고압·초고온 실험과 X선 자유전자레이저 장비의 발전으로 이 가설은 점점 더 정량적인 물리 모델과 직접 관측에 준하는 실험적 증거를 갖추게 됐습니다. 2017년과 2022년의 일련의 SLAC(미국 스탠퍼드 가속기 연구소) 실험은 탄화수소를 급격히 압축·가열해 나노 다이아몬드가 실제로 생성되는 순간을 포.. 2025. 9. 28.
토성 고리의 ‘링 레인’, 사라지는 고리의 비밀: 외행성 대기·스펙트럼 분석·차세대 천문대가 밝히는 결정적 단서 토성 고리의 링 레인과 관련된 흥미로운 사실과 관측·스펙트럼 분석, 차세대 천문대의 최신 결과, 그리고 외계행성 대기 연구에 주는 함의를 알기 쉽게 소개합니다. 목차서론: ‘얼음의 고리’가 내리는 비, 링 레인이란 무엇인가한때 영원불변해 보였던 토성 고리는 사실 행성으로 ‘비’처럼 떨어지고 있습니다. 천문학자들은 이 현상을 **링 레인(ring rain)**이라 부르는데, 이는 고리에서 나온 얼음/나노입자·수증기·유기물 등이 자기장을 따라 토성 상층 대기로 흘러들어 **이온층(H₃⁺)**과 오로라 주변의 화학·전기적 환경을 바꿔 놓는 과정입니다. 이 글에서는 링 레인의 메커니즘, 스펙트럼 분석으로 포착되는 신호, **차세대 천문대(JWST)**가 가져온 최신 해석, 나아가 외계행성 대기와 외계생명체 탐색.. 2025. 9. 28.
가이아 3D 성간먼지 지도로 읽는 은하수의 ‘먼지 강’과 별빛 왜곡: 지도학·통계·물리의 최전선 가이아 3D 성간먼지 지도를 통해 은하수 속 먼지 구조와 별빛 왜곡(적색화·소광) 의 물리를 쉽게 풀고, 관측·통계 기법과 최신 결과를 소개합니다. 목차서론|왜 ‘먼지 지도’가 은하수 연구의 게임체인저인가천문 사진에서 성간먼지는 종종 시야를 가리는 방해꾼으로만 보이지만, 실제로는 별 탄생과 가스의 흐름을 그려주는 천연 염료이자 우주 기상도입니다. 별빛은 먼지를 지나며 밝기가 줄고(소광), 붉게 치우치며(적색화), 때로는 편광을 띱니다. 이 미세한 왜곡을 수억 개 별에서 정량화하면, 우리 주변 수천 광년 규모의 3차원 먼지 분포—일종의 ‘은하수 지질도’—가 드러나죠. 그 중심에 바로 유럽우주국(ESA)의 가이아(Gaia) 가 있습니다. 가이아는 정밀 시차·고유운동·광도를 대량으로 제공하여, 다른 광학/적외.. 2025. 9. 27.
행성 통과 타이밍변화(TTV)로 외계행성 질량을 재는 비법: 약한 신호를 읽는 통계 마법의 전모 **행성 통과 타이밍 변화(TTV)**를 이용해 외계행성 질량을 추정하는 방법과 공명‧동역학 모델링의 핵심, 실사례, 통계 트릭을 알기 쉽게 소개합니다.목차 서론: “시간이 틀린다”는 이상 신호가 질량의 열쇠가 될 때외계행성 연구에서 가장 값비싼 정보는 질량입니다. 반지름은 트랜싯으로 쉽게 구할 수 있지만, 질량은 별의 미세한 흔들림(RV)이나 직접영상, 혹은 행성 통과 타이밍 변화(TTV, Transit Timing Variations) 같은 간접 효과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죠.핵심 아이디어는 간단합니다. 한 행성이 별 앞을 지날 때(트랜싯) 그 통과 시각이 매번 조금씩 빨라지거나 늦어진다면, 이는 같은 항성 주위의 다른 행성의 중력 간섭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 미세한 “시간의 흔들림” 패턴을 정.. 2025. 9. 27.
‘행성 엄폐(Occultation)’로 소행성 크기·고리까지 잡아내는 조용한 최전선 행성/항성 엄폐로 소행성 크기·형상·고리를 정밀 측정하는 최신 방법과 시민천문·가이아(Gaia) 예측 활용법을 알기 쉽게 소개합니다. 목차서론: 밤하늘의 “순간적인 꺼짐”이 여는 거대한 디테일하늘의 별이 찰나의 순간 미세하게 어두워졌다가 다시 켜질 때가 있습니다. 이를 **엄폐(occultation, 엄폐현상)**라고 부릅니다. 특히 항성 엄폐는 소행성·왜행성·해왕성 바깥의 먼 천체가 배경별을 스쳐 지나가며 별빛을 가리는 순간을 잡아, 소행성 크기와 모양, 심지어 **고리(rings)**의 존재까지 밝혀냅니다. 대표적으로 케타우르(10199) 카리클로(Chariklo)의 이중 고리(2013)와 왜행성 하우메아(Haumea)의 고리(2017)는 모두 항성 엄폐 관측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지금 이 분야가 더 .. 2025. 9.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