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허블2 천왕성의 ‘이국적 계절’과 기울어진 자전축이 만드는 대기 역학 천왕성의 이국적 계절과 기울어진 자전축이 만드는 대기 역학을 최신 허블·제임스웹 관측과 연구를 바탕으로 알기 쉽게 소개합니다.목차서론: 옆으로 구르는 행성, 왜 계절도 ‘옆길’로 갈까?천왕성(Uranus)은 자전축이 공전면에 대해 거의 눕다시피(약 97.8°) 기울어진, 태양계에서 가장 기묘한 사계절을 가진 행성입니다. 이 때문에 남·북극이 번갈아 42년 동안 백야/극야를 겪고, 우리가 익숙한 ‘봄·여름·가을·겨울’의 리듬도 전혀 다르게 전개됩니다. 이 극단적 **자전축 기울기(Obliquity)**는 대기 순환, 구름·헤이즈(연무), 극관(cloud cap), 제트 바람까지 모든 것을 바꿔 놓습니다. 최근 허블의 20년 장기 분석과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의 적외선 영상은 계절적 극관의 형성·소.. 2025. 10. 3. 우주 팽창 속도 측정의 불확실성과 허블 논쟁 목차1.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 – 기본 개념허블의 발견과 허블 법칙1929년,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Edwin Hubble)**은 우주가 정적인 것이 아니라 팽창하고 있다는 혁명적인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멀리 있는 은하일수록 더욱 빠른 속도로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음을 확인했으며, 이를 통해 **‘허블 법칙(Hubble's Law)’**을 정립했습니다. 이는 은하의 속도(v)와 거리(d) 사이에 비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수식으로 나타낸 것입니다.v = H₀ × d여기서 H₀는 ‘허블 상수’라 불리는 팽창 속도를 나타냅니다.이 발견은 우주론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꿨습니다. 정적인 우주관에서 빅뱅 우주론으로 이행하게 만든 결정적 계기가 되었죠.적색편이와 거리 측정허블이 은하의 속도를 측정한 방.. 2025. 7.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