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펙클보정1 ‘럭키 이미징’과 스펙클 보정으로 아마추어도 초고해상도 별 사진에 다가가는 실전 가이드 ‘럭키 이미징’과 ‘스펙클 보정’ 원리부터 장비·소프트웨어·세팅·실전 팁까지, 아마추어가 초고해상도 별 사진에 도전하는 방법을 알기 쉽게 소개합니다. 목차 서론: 대기 난류를 “순간 동결”하면 열리는 해상도의 문밤하늘을 보면 별이 반짝이죠. 낭만적이지만, 사진가에겐 **대기 난류(seeing)**가 만드는 흐림의 다른 이름입니다. 오랜 노출을 주면 난류가 평균화되어 별상이 퍼지고, 망원경 이론 해상도는 빛을 보지 못합니다.바로 여기서 스펙클(speckle) 보정과 **럭키 이미징(lucky imaging)**이 빛을 발합니다. 초고속으로 **매우 짧은 노출(수~수십 ms)**을 수천·수만 장 촬영해, **가장 선명한 프레임(‘럭키’ 프레임)**만 골라 정렬·합성하면, 지상에서도 회절 한계에 근접한 세부.. 2025. 10.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