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간매질1 헬리오포즈 경계의 요동을 추적하다: 보이저가 들려준 태양권 바깥의 ‘성간 날씨’와 다음 임무(IMAP) 헬리오포즈 경계 요동과 보이저 탐사선 관측을 중심으로, 성간 플라즈마 파동·우주선 변동·ENA 리본과 IMAP 임무까지 알기 쉽게 정리합니다. 서론: 우리 동네 ‘기상도’의 바깥쪽을 보다지구 기상처럼 태양권에도 날씨가 있습니다. 태양풍은 거대한 **태양권(Heliosphere)**을 만들고, 그 바깥에는 **성간매질(ISM)**이 있죠. 두 매질이 맞부딪히는 얇은 막이 바로 **헬리오포즈(Heliopause)**입니다. 이 경계는 고정된 벽이 아니라 미세한 **요동(fluctuations)**과 파동(waves), 그리고 **재연결(reconnection)**로 끊임없이 재편되는 ‘살아 있는 경계’입니다. 2012년 보이저 1, 2018년 보이저 2가 차례로 경계를 넘어선 뒤, 인류는 처음으로 태양권 .. 2025. 10.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