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행성고리1 ‘행성 엄폐(Occultation)’로 소행성 크기·고리까지 잡아내는 조용한 최전선 행성/항성 엄폐로 소행성 크기·형상·고리를 정밀 측정하는 최신 방법과 시민천문·가이아(Gaia) 예측 활용법을 알기 쉽게 소개합니다. 목차서론: 밤하늘의 “순간적인 꺼짐”이 여는 거대한 디테일하늘의 별이 찰나의 순간 미세하게 어두워졌다가 다시 켜질 때가 있습니다. 이를 **엄폐(occultation, 엄폐현상)**라고 부릅니다. 특히 항성 엄폐는 소행성·왜행성·해왕성 바깥의 먼 천체가 배경별을 스쳐 지나가며 별빛을 가리는 순간을 잡아, 소행성 크기와 모양, 심지어 **고리(rings)**의 존재까지 밝혀냅니다. 대표적으로 케타우르(10199) 카리클로(Chariklo)의 이중 고리(2013)와 왜행성 하우메아(Haumea)의 고리(2017)는 모두 항성 엄폐 관측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지금 이 분야가 더 .. 2025. 9.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