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로 길게 뻗는 수성의 ‘나트륨 꼬리’: 왜, 언제, 얼마나 밝게 보일까?
수성 나트륨 꼬리의 생성 원리, 계절 변화, 관측 팁과 실생활 응용(필터·장비·촬영법)을 알기 쉽게 소개합니다.목차서론: “행성이 혜성처럼 보이는” 밤, 무엇이 일어나는가초저녁 서쪽 하늘을 길게 노출해 촬영하면, 작은 점 같은 수성 뒤로 주황빛 가느다란 꼬리가 뻗어 나오는 사진을 볼 때가 있습니다. 혜성이 아니라 수성의 나트륨(Na) 꼬리죠. 수성은 두꺼운 대기가 없지만, 표면이 햇빛과 미세운석에 얻어맞으며 생기는 초미약 외기권(exosphere) 덕분에 나트륨 원자가 풀려납니다. 이어 태양빛(특히 589.0/589.6nm, D-선)이 이 원자를 산란시키고 동시에 복사압으로 밀어내며, 밤하늘에 “혜성 같은” 꼬리를 그립니다. 2001년 지상에서 꼬리가 처음 직접 검출된 뒤, 탐사선 MESSENGER와 지..
2025.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