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Starlink 한눈에 잡는 인공위성 추적 앱 가이드 (KST 맞춤 설정·알림까지)
이 글에서는 ISS·Starlink 인공위성 추적 앱의 설치·설정·알림·정확도 팁과 Starlink ‘트레인’ 관측 타이밍을 한국 시간대(KST) 기준으로 쉽게 소개합니다.
목차
1) 앱 추천 — 상황별 베스트 픽
상황 | 추천 | 앱강점 |
ISS만 정확히, 공식 알림 | NASA Spot the Station | 공식 앱, 위치별 가시 통과 시각/고도/방위 제공, 푸시 알림 지원. |
전체 위성·Starlink 그룹까지 정밀 | Heavens-Above(앱/웹) | 세부 통과표·별자리 차트·Starlink 런치 그룹 예측, 위치 고정 기능. |
쉬운 알림·AR 가이드(한글화 쉬움) | Satellite Tracker by Star Walk | 실시간 트래킹·AR 가이드·Starlink/ISS 알림. |
안드로이드에서 간편 알림 | ISS Detector(확장팩: Starlink) | 가시성·날씨·자기장 지수 등과 연동, Starlink/HST 확장 제공. |
웹으로 빠르게 확인/알림 | N2YO | 라이브 궤도·10일 예측·이메일/SMS 알림. |
Starlink ‘트레인’만 간단히 | Find Starlink(앱/웹) | 최근 발사 묶음의 가시 시간대 빠르게 제시. |
2) 3분 세팅 — ISS부터 보기
A. NASA Spot the Station (iOS/Android)
- 앱 설치 후 Location → Seoul(또는 GPS) 선택.
- Notifications 켜기 → “Visible passes only(가시 통과만)” 유지.
- 예측 화면에서 Time / Duration / Max Height(최고고도) / Appear/Disappear 방향 확인. 알림은 **현지 시간대(KST)**로 전송됩니다.
팁: Max Height 40° 이상이면 머리 위로 높게 지나 밝고 오래 보입니다. 앱은 지나갈 방향을 8방위로 반올림해 보여줍니다.
B. Heavens-Above (앱/웹 공통)
- Change your observing location에서 위치를 KST 지역(예: 서울)으로 저장.
- ISS → Visible passes에서 날짜별 표 확인(밝기/고도/방위/별자리 차트).
- Starlink → Starlink – dynamic 3D / launch group 메뉴로 최근 발사 묶음의 가시성 확인.
C. Satellite Tracker by Star Walk
- 목록에서 ISS 또는 Starlink 검색 → **AR(하늘 보기)**로 화면 화살표를 따라가면 실제 하늘에서 위치를 잡아줍니다. 알림 설정 가능.
D. ISS Detector (Android)
- 기본은 ISS/Iridium(과거)·HST 등, 구매형 확장팩으로 Starlink 지원. 가시 통과 알림과 날씨 고려가 간편합니다.
E. N2YO (웹)
- 위성 상세 페이지에서 10-day predictions 확인, Alerts by Email/SMS 등록 가능(회원).
3) Starlink ‘위성열차(트레인)’를 제대로 보는 법
- 언제? 발사 직후 수일 동안 가장 보기 쉽습니다. 위성들이 고도 상승·분리 전이라 일렬 행렬로 보이죠. 일몰 직후/일출 직전이 특히 유리합니다(지상은 어둡고 위성은 태양광을 받는 구간).
- 어떻게 찾나?
- Heavens-Above에서 해당 런치 그룹을 선택해 시간·방향 확인.
- Find Starlink(앱/웹)는 초보자용으로 가시 시간대를 빠르게 제시합니다(비공식).
- 밝게 보일 조건: 태양 고도 −10°~−20°, 관측지 광해 낮음, Max Height 30° 이상이면 체감이 좋습니다(앱 예측의 최대고도·밝기 참고).
4) ‘정확도’는 왜 다를까? — TLE 갱신이 핵심
- 앱/웹의 예측은 대부분 TLE(Two-Line Element) 궤도요소를 SGP4 모델로 전개해 계산합니다. LEO(저궤도) 위성은 대기저항·태양활동 영향으로 TLE가 2–3일만 지나도 오차가 커질 수 있어 자주 갱신해야 해요.
- 실제로 LEO는 상황에 따라 하루에도 여러 번 업데이트되기도 합니다(특히 발사 직후·궤도 조정 시).
- 신뢰 가능한 소스: CelesTrak(공식 OMM/TLE, Starlink 보완 세트 제공). 앱들이 내부적으로 참조하거나 자체 서버로 공급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전 팁: Starlink는 군집·기동이 잦아 예측 난도가 높습니다. 관측 당일 앱을 열어 최신 동기화 후 출발하세요.
5) 화면에 보이는 변수, 이렇게 읽으세요 (치트시트)
- Magnitude(등급): 숫자 작을수록 밝음. 0 ~ -3이면 매우 밝아 맨눈 OK.
- Max Height(최고고도): 단위 °. **40°↑**는 시야 방해 적고 오래 보임.
- Azimuth(방위): W/NW/NNW처럼 8~16방위로 표기(Spot the Station은 반올림).
- Duration(가시 시간): 보이는 시간(초/분). 태양 고도·그림자 진입에 따라 달라집니다.
- Clouds/LP(구름/광해): 앱 예보와 별개로 현장 하늘이 성패를 좌우—도심이라도 ISS·Starlink는 충분히 맨눈 관측 가능.
6) 실전 루틴(Seoul 예시, KST)
- Spot the Station에서 이번 주 Max Height 40°+ 알림만 켬.
- Heavens-Above로 같은 날 별자리 차트·지나가는 경로 재확인.
- Starlink가 궁금하면 Find Starlink와 Heavens-Above 런치 그룹을 교차 검증.
- 관측 1~2시간 전에 앱을 다시 열어 데이터 새로고침(TLE 최신화).
- 삼각대+광각으로 타임랩스를 돌리면 ISS 궤적/Starlink 줄무늬를 쉽게 남길 수 있어요.
7) 자주 묻는 질문(FAQ)
Q1. ‘ISS가 머리 위로 지나간다’는 말이 실제로는 무슨 뜻인가요?
A. 앱의 최고고도가 높을수록 더 머리 위를 스친다는 뜻입니다. **60°↑**면 거의 머리 위, **20°**면 지평선 가까이 스칩니다.
Q2. 왜 앱마다 예측 시각/밝기가 조금씩 다르죠?
A. 쓰는 TLE 시각/버전과 대기·반사 모델 차이 때문입니다. 관측 직전에 동기화하고, 두 앱 이상 교차 확인하면 성공률이 올라갑니다.
Q3. Starlink ‘트레인’은 항상 보이나요?
A. 발사 직후 며칠간만 ‘열차’처럼 보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위성들이 퍼져 일반적인 단일 위성처럼 보입니다. 황혼 전후가 가장 유리합니다.
Q4. 한국 시간(KST) 자동 변환되나요?
A. Spot the Station은 선택한 위치의 로컬 시간으로 표시/알림합니다. 다른 앱도 보통 단말기 시스템 시간대를 따릅니다.
Q5. 신뢰할 만한 데이터 소스는?
A. **CelesTrak(OMM/TLE)**와 각 앱의 서버가 대표적입니다. 발사 직후엔 업데이트가 잦으니 관측 당일에 다시 동기화하세요.
Q6. 이메일/SMS로도 알림 받을 수 있나요?
A. N2YO가 메일/SMS 알림 도구를 제공합니다(회원 등록 필요).
8) 다운로드/바로가기 (공식/스토어)
- NASA Spot the Station(iOS/Android) — 공식 ISS 알림 앱.
- Heavens-Above(Android 앱 & 웹) — 다중 위성·Starlink·차트.
- Satellite Tracker by Star Walk(iOS/Android) — AR 가이드·Starlink/ISS.
- ISS Detector(Android) — 간편 알림·Starlink 확장.
- Find Starlink(앱/웹) — Starlink 가시 시간 빠른 확인.
- N2YO(웹) — 10일 예측·메일/SMS 알림.